행사 기간 2021. 10. 20. 수요일 – 11. 20. 목요일
                (관람시간: 오후 3시 – 8시 / 월요일, 화요일 휴관)
행사 장소 로얄빌딩 지하 1층 (서울 중구 난계로11길 42)
참여예술가 문서진, 박관택, 서용선, 유승호, 조현선
예술감독 김신일
큐레이터 김해다
공간설치 유니크폼
주최·주관 사단법인 글로벌평화예술문화재단
후원 서울특별시
협력 아시아명상협회, ㈜마인드디자인, ㈜마인드그라운드


마인드붐은 예술이 가진 치유적 에너지를 세계가 주목하는 명상 산업의 동향과 적극적으로 연계, 현대인이 경험하는 내적 갈등 및 대립을 스스로 목격하고 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안하는 아트페스티벌입니다.

그 첫 번째 순서인 인 《달빛이 연못을 뚫어도》는 오랫동안 ‘마음’ 을 주제로 작업해 온 설치미술가 김신일이 예술감독을 맡아 문서진, 박관택, 서용선, 유승호, 조현선 작가의 작품을 선보입니다.


금강경 야부송의 “대나무 그림자가 섬돌을 쓸어도 티끌하나 일지 않고, 달빛이 연못을 뚫어도 물에는 흔적이 없다(竹影掃階塵不動, 月穿潭底水無痕)”는 경구에서 영감을

받아 기획된 《달빛이 연못을 뚫어도》전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세계에서 인식의 경계란 감각할 수 있되 그 흔적은 찾을 수 없는 달빛과 같다는 생각에서 출발합니다.

불분명한 곳에 머무르며 끊임없이 세계를 다시 보려는 예술가들의 은유와 추상이야말로 예술 행위가 인간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임을 발견하고, 머물러 있지 않는 인

식 그 자체를 향한 노력을 5명 작가의 작품을 통해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MINDBOOM 2021
《달빛이연못을뚫어도》

행사 기간


행사 장소


참여예술가

예술감독

큐레이터

공간설치

주최ㆍ주관

후원

협력

2021. 10. 20. 수요일 - 11. 20. 목요일

(관람시간: 오후3시 - 8시 / 월,화 휴관)

로얄빌딩 지하 1층

(서울 중구 난계로11길 42)

문서진,박관택,서용선,유승호,조현선

김신일

김해다

유니크폼

사단법인 글로벌평화예술문화재단

서울특별시

아시아명상협회,(주)마인드디자인,(주)마인드그라운드

서용선


특유의 묵직한 필선과 강렬한 색감으로 한국 화단을 이끌어온 서용선 작가는 이번 전시에 대형 자화상과 불상 조각, 그리고 역사화를 선보인다. 액자처럼 걸려 있는 창문 밖을 향해 앉은 <시드니 자화상>(2020-2021)과 난간처럼 보이는 곳 자신 혹은 타자의 분열된 신체 속에 서 있는 작가의 모습이 담긴 <자화상NJ>(2021)에서 작가의 시선 은 뜨겁게 불타오른다. 평소 자화상을 그리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할 정도로 자화상을 즐겨 그리는 작가는 자신의 형상을 통해 외부 세계, 더 나아가 역사와 사회 현상에 대 한 인식의 경계까지 ‘다시 쓰기’를 거듭하고 있다. 

유승호


언어가 가진 본래의 의미들을 변형-해체시키는 작업을 해온 유승호 작가는 하나의 커다란 이미지로 보이지만 사실은 작은 글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이제는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일련의 작품들을 선보인다. 그의 화폭에서 글자들은 형상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가 될 뿐 본래 의미는 놓아버린다.

뇌출혈과 natural,아이고와 I go를 뒤 섞는 유머는 글자와 의미, 내용과 이미지 사이에 축축한 균열을 일으킨다. 그 틈새에서 고정관념은 힘을 잃고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이 탄생한다.

조현선 


조현선 작가는 자신의 전작 (2015)의 화면을 계속해서 재구성재해석해나가는 <반달색인>시리즈를 선보인다. 전작을 하나의 사전으로 상정하 고 ‘다시보기’ 를 반복하는 행위는 본질적으로 완결을 거부하는 일이다. 작가는 “사전처럼 한 문장 안에 명료하게 정의내리는 것”의 불가능성을 사유하기 위해 캔버스를 덮 고 또 덮기 보다는 새로운 화면을 생산하고 끊임없이 증식시키기로 함으로써 원본의 위계마저 흔든다. 원본을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독자적으로 자생하는 <반달색인>들은 미완의 상태이자 그 자체로 완전하게 관람자를 맞이하며 명확한 정의내림과 경계짓기란 환상에 불과한 것임을 일깨운다.

박관택 


선풍기 바람에 나부끼는 박관택 작가의 “연약한” 드로잉들은 작품을 “보는 방법”에 질문을 던진다. 여러 레이어로 겹쳐지거나 잘려나간 종이의 표면들은 선풍기 바람에 의 해 공간 속을 펄럭이며 관람자의 망막을 어지럽힌다. 드로잉들은 자신의 모습을 최대한 명확하게 잘 보여주기 위해 얌전히 멈춰 있기 보다는 2차원의 가상세계에서 3차원 의 현실세계로, 정지된 스틸이미지에서 움직이는 무빙이미지로, 어떻게든 한 발짝 나아가 보려 애쓰는 듯하다. 선풍기 펜이 일으키는 요란한 소음과 피부로 느껴지는 공기 의 흐름을 느끼며 연약한 드로잉 앞에 섰을 때, 고정되어 멈춰 있지 않으려는 연약한 노력이 내뿜고 있는 그 강단과 소신에 사로잡히게 된다.

문서진 


문서진 작가는 얼어붙은 호수 위에 매일 눈을 쌓아 올리는 퍼포먼스 <살아있는 섬>(2020), 자신의 몸을 컴퍼스 삼아 커다란 원을 그리는 퍼포먼스 <내가 그린 가장 큰 원>(2016) 등 신체를 통해 세계와 교감하는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을 선보인다. ‘삽으로 눈을 쌓는다’, ‘몸으로 원을 그린다’와 같이 최소한의 계획만을 가지고 시작하는 작가의 퍼포먼스 는 불확실성 속에서 발견하는 새로운 감각들로 채워진다. 언 호수 위를 오가며 작가가 느낀 “지면이 무너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과 잠재된 죽음에 대한 두려움, 자연에 대 한 경외, 연약하고 유한한 존재로서의 인간과 누군가의 응원으로부터 받는 위안에 대한 여러 단상들”은 전시장에 놓인 작품들을 통해 지금 이 순간에 대한 관람자의 직접적 인 감각을 일깨운다 

사단법인 글로벌평화예술문화재단 02-2231-2011 art@mindd.co.kr

사단법인 글로벌평화예술문화재단 02-2231-2011 art@mindd.co.kr